재미없는 채권 이야기(feat 긴글 주의)



 



금융은 어렵고 재미가 없음. 그래도 돈이 돌아가는것을 알면 세상 돌아가는게 다르게 보임. 정보게이 시각으로 동향을 알아 봄. 




1. 채권은 돈을 빌려준 채무증서임 



2. 차용증과 비슷한데,  다른점은 돈을 받을 권리를 쉽게 사고 팔수가 있다는 점임.


3. 문제는  얼마에 사고팔아야 하는지임


4. 1천만원, 10%이자, 1년만기 채권을 샀다고 가정함. 


5.  1년이 지나 만기가 되면 원금 1천만원과 이자 100만원을 받을 것임. 


6. 그런데, 1년이 되기전, 6개월 시점에  돈이 필요해서 이 채권을 팔아야 함 


7. 1천만원 짜리 채권이라도 1천만원 액면에 팔지는 않을것임. 


8. 채권을 사는 사람은 1년이 아니라  6개월만 버티면 1년치 이자 100만원을 받을수 있으니, 1,050만원 정도에 파는게 합리적임 



9. 그런데, 시장금리가 바뀌면 계산이 달라짐 


10. 만약 6개월전에는 금리가 10% 였는데, 지금 금리는 5%로 떨어졌다고 가정해 봄 


11.  1,050만원으로 6개월짜리 새 채권을 사면 금리가 5%로 낮아져서 6개월뒤에는 원금 1,050만원과 이자 25만원 정도, 합쳐서 1,075만원 받게 됨 


12. 그런데, 이 기존채권은 10%짜리 이자를 주는 채권이라 1,100만원을 6개월뒤에 받을 수가 있음 


13. 25만원을 더 붙여서 1,075만원 정도에 파는게 합리적임.  



14. 금리가 떨어지면 채권가격이 오른다는 말임



15. 다르게 말하면 채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금리가 떨어지면 채권가격이 올라서 이익을 봄. 


16. 이런 이유로 채권을 많이 가지고 있는 보험회사들은 금리가 떨어지면 채권가격이 올라서 평가이익이 많이 나게 됨. 


17. 금리와 채권가격이 반대로 움직이는 규칙은 다른 곳에도 적용됨 


18. 무언가 세계경기에 문제가 생길 것 같으면 돈은 안전한 곳으로 몰림. 금, 은, 달러, 엔등임.


19.  안전자산이라도 부름. 


20. 안전한 곳 중의 하나가 독일채권임 


21. 채권을 발행한 곳이 망하면 돈을 못 받음. 베네수엘라가 그럼.  


22. 독일이 망할리가 없다고 보면,  만기에 채권을 떼 먹지 않을 것이니 너도나도 독일 채권을 사게 됨. 


23. 뭐든 흔하면 값이 내리고, 귀해지면 값이 오름 


24. 독일채권이 귀해지니 독일채권 가격이 오르고, 채권가격이 오르면 독일 채권 금리가 내리게 됨. 


25.  우리은행에서 DLS라는 것을 올해초에 팔아댐 


26. 6개월뒤에 4%의 꽤 높은 이자를 주겠다는 사모펀드임 


27. 4%의 꽤 높은 이자를 주는 조건이 하나 있음.


28. 독일 국채 금리가  -0.2% 밑으로만 안떨어지면 6개월뒤에 4%금리를 준다는 조건임.


29. 금리가 마이너스 라는 것은 돈을 맡기면 이자를 주는게 아니라 보관료를 떼간다는 말임. 극단적인 상황이라는 말이 됨 


30.  은행원들은 이렇게 말 했을 것임



31.  “고객임.   독일 국채 금리가 -0.2%밑으로 떨어진 적은 20년내에는 없었던 일입니다. 지금 0.2%인데, 6개월안에 -0.2%로 설마 떨어지겠습니까?”



32.  그런데, 떨어져버림 



33. 세계 경기가 맛이 갈 것을 예감한 돈들이
안전자산인 독일 국채로 몰리면서 국채 금리가 위 그래프처럼 -0.7%까지떨어짐 


34. 우리은행이 팔았던 DLS는 독일 국채 금리가 -0.2%밑으로 떨어지면 그때부터 0.1%p씩 떨어질때마다 원금이 20%씩 날라가는 펀드였음 


35. -0.7%까지 하락했으니, 3,414억을 투자한 1,632명은 원금을 다 떼이게 됨.  


35 DLS 보다  훨씬 큰 놈이 있음.



36. ELS임 


37. ELS와 DLS의 차이는 간단함. 주식가치에 연동되면 ELS이고, 주식외 다른것에 연동하면 DLS임. 


38. DLS는 원유,채권등 다양한 곳에 연동되어 있고, 이번에 터진것은 독일국채에 연동된 DLS임. 


39. 문제는 팔린 규모임 



40.  DLS는 1조가 안되게 팔렸지만, ELS는 40조 넘게
팔림.


41. ELS의 큰 문제는  67%가 홍콩H지수에 연계되어 있는 것임 


42. 홍콩H지수는 텐센트등 홍콩에다 상장한 중국기업 40개의 주식가치 합산임 



43. 중국기업과 홍콩상황에 따라 주가가 변한다는 말이고, 중국기업과 홍콩이 ㅈ되면 같이 ㅈ된다는 것임 



44. 홍콩H지수가 8,000선까지 내려가면 우리은행DLS처럼 손실구간에 들어가는 넘이 생기기 시작함 


45.  현재 홍콩H지수는 10,000정도이고, 14,000에서 꽤 떨어짐


46. 홍콩에 중국군대가 들어오고, 중국기업들이 미국과 무역전쟁에서 맛이가면 홍콩H지수가 8,000 위에서 버틸수 있을까가 관전 포인트임 


47. 누군가 손해보는 사람이 있으면, 그 돈을 버는 사람이 있음 


48.  우리은행 DLS건으로 보면 우리은행은 단순하게 중개를 하고 수수료를 먹는 정도임. 투자자가 원금을 다떼여도 우리은행이 먹은거는 없음 



49. 돈을 버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임 


50.  홍콩과 중국이 맛이가서 홍콩H지수
8,000선이 깨지면 큰 돈을먹는 사람들은 누굴까?





한줄요약. 독일금리 빠지는거 보면 큰 놈이 오기는 오는거 같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