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versely, let's look at glasses and human nature.

Let 's turn on this. Pick up or pick up and listen as you go. Do not listen to hate.






* It is in this sense a message posted in the same subject buried go up to 3:00 before siinga siinga 4, was added to some modifications echoes jaeeop bayida says that.








There is a thing called glasses.

It's glasses that look upside down. It is not only the upside down but also the upside down glasses.




There may be a gay who thinks of these thoughts by watching these glasses.


The brain says it's flexible.

If a human being ... just as soon as the baby is born,

Because the brain has adapted, 

Will things look upside down again completely, and will the world be straightened and recognized?
Or will we live a lifetime living in the same reversed world as when we were just wearing glasses upside down?
 


Let's dig out this question.
 
 











 
NATURE VS NUR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debate of 'nature and nurturing', which continued from the past even more than that, was a time when it was bothering many people including scientists and philosophers.
 
In the 1600s in Europe Reformation rangeol while dwaetneunde endlessly religion and massive political movement, experiencing, while gradually weaken the political influence of the religious groups such as Catholic in the process and emphasized individual rights and responsibilities, naturally empiricism saenggimyeo the zeitgeist of Based on this, science began to flourish as the discipline of science fell apart from philosophy and religion to independent science. At that time, famous scientists just poured out, people say that they would go to see a movie about science today, like going to a movie or going to a concert to watch a musical performance.
 
Newton, a renowned scientist of his time, showed that sunlight would be broken down into multicolored light by passing through a prism, recombined through another prism to become white light, and chemist and physicist Robert Boyle, (Such as molecules and atoms).
 

Now ... there was a philosopher who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se two people.
 
 
 
 

 
He was John Locke .
 


John Locke imagined that as Newton had decomposed and synthesized the light, he could break down his mind and synthesize it again to make the whole consciousness.
However, as Boyle argues, something like a characteristic, a complex idea (idea) in the mind of a man is created from a combination of basic ideas, and this basic idea is thought to be passively acquired through sensory organs.

  

쉬운말로 하면 기본관념인 "붉다, 달다" 같은 것들은 시각과 미각을 통해 얻어지며, 복합관념인 "잘 익은 빨간 사과" 같은것은 이런 단순관념들의 연합에 의해 생긴다라는 아이디어 였다. 존로크는 인간의 마음이 이런식으로 구성된다고 여겼음..
 
한마디로 존로크가 펼쳤던 주장은
 
"모든 지식, 마음은 오직 경험에서 기인한다" 라는 것이다. 

후에 아리스토텔레스가 썼었던 비유 "빈서판"(백지, 암것도 안써있는 판떼기, 타뷸라 라사, tabula rasa)을 자기가 차용해서...
갖 태어난 아기는 나중에 무언가가 쓰여지게 될 빈서판에 일종이라고 여겼다.

 
"Let us then suppose the mind to be, as we say, white paper void of all characters, without any ideas: How comes it to be furnished?...To this I answer, in one word, from EXPERIENCE."
"마음이, 말하자면, 아무 관념도 없고 아무런 특징도 가지고 있지 않은 백지라고 가정해 보자. 어떻게 마음이 장식되는 것인가?...이 물음에 한 단어로 답한다면 그것은 경험이다."
 
 
이게 존로크의 경험론이다. 
 
이 존로크의 경험론은 당시 종교억압과 귀족정치에 억압받던 사람들을 크게 흔들어놓아서...
 
고귀한 혈통만 물려 받아 다스리는 귀족정치, 즉 혈통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태어났으니까, 지식을 습득하고, 성공하고, 리더십을 발휘하고 하는 능력에서 모두 동일하며 노력과 학습에 의해 평민들도 사회계급의 한계와 장해를 모두 극복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씨발점이 되었다.

그리고 또 존로크는 자신의 사상을 바탕으로, 출생성분에 관계없이 모든 아동들은 좋은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이런 경험론은 미국까지 건너가서 나중에 토마스 제퍼슨이 독립선언문을 쓸때 존로크가 했던 말을 그대로 복붙하는 것으로 까지 이어졌다.

 
 
이런 존로크의 빈서판썰은 영향력은 이런 사상적인 것 뿐만 아니라... 그대로 인간에 대해 생각해보는 학계로 까지 그 영향력이 뻗어있었다
 
 

거꾸로 안경 이야기하는데 왠 존로크가 튀어나오는가..
 
왜냐면 이 질문은 사실 이 본성과 양육논쟁과 맞닿아 있는 의문이기 때문이다.
과거의 유산들을 만지고 해부하다가 보면, 현재의 새로운 논쟁이라는 것은 고작 과거 것의 또 다른 모습일 뿐이라는 '데자뷰 효과'를 가끔 느끼곤 한다.
 
 
뇌는 타고나는 것이기 때문에 갖 태어난 아기에게 거꾸로 안경을 씌우고 평생을 살게 해주면, 아무리 그 안경과 적응을 잘 해도 거꾸로안경과 함께 세상이 뒤집혀 보일까? 단지 뒤집힌 세상에 적응을 잘 한것일까? 아니면 뇌는 무엇이든 유연하게 배우고 적응을 하는 후천적으로 배워 변형을 막 유연히 하는 기관이니..결국 그 아기와 거꾸로안경과 함께한 세상은 똑바른 세상으로 보이게 될까?
 









 



 
 
어떤 일이든 일어날 수 있다.


20세기 초반은 바로 그런 굴곡에 여전히 시달리던 시기였다. 그 영향은 본성이냐 양육이냐, 선천성이냐 후천성이냐 하는 질문으로 남아 여전히 당시 과학계를 괴롭히고 있었지.
 


 
 
 
  
1940년대에 칼 래슐리라는 심리학자가 있었음.
 
 
 
 
이 사람은 그의 가장 유명한 제자 도날드 헵(신경 가소성과, 신경계에 학습의 주요 원리인 LTP 관련하여 선빵치는 연구를 했던 학자)이라는 사람과 다트머스대학에서 아주 신랄한 논쟁을 펼친적이 있다.
 
질문은 이것이었다

"뇌는 빈서판 같은것이라 막 유연히 변형가능할까? 아니면 이미 여러가지 제약을 갖고 태어냐며, 그 갖고 있는 구조에 따라 모든게 결정되는걸까?"
 
당시는 위의 존 로크로부터 비롯된 빈서판썰이 거의 20여년동안 지배적인 학설로 군림하던 때였고..이 칼 래슐리는 애초부터 이 썰의 열렬한 지지자였다. 심지어 당시 학계를 휘잡고 있던, 가장 급진적 빈서판 이론가였던 행동주의자 존 왓슨의 절친이었지(존왓슨은 건강하고 멀쩡한 아기 열둘과 이 아이들을 내 방식대로 키울 수 있는 세상을 준다면 이 아이들을 골라서 내가 원하는 전문가, 의사, 변호사로 키울 수 있고 거지, 도둑으로 키울 수도 있다. 아이의 재능, 취향, 인종은 전혀 상관없다라는 극단적 주장을 했던걸로 유명한 사람) 
 
 
 
아무튼 칼래슐리는 최초로 지능이나 기억과 관계된 동물의 뇌 메커니즘을 직접적으로 뜯어가며 정량적으로 연구했던 사람들 중 하나인데..
이 사람을 가장 유명하게 만든 논문이 'In search of the engram', '기억흔적을 찾아서' 라는 것이다.(참고로 노벨상을 수상한 신경생물학자 에릭칸델의 유명한 자서전 "기억을 찾아서"는 칼 래슐리의 이 논문을 오마주한 제목이다. 칼래슐리의 이 논문에 대해 자세하게 나가면 삼천포로 빠지니 건너뛰고 생략한다)
 
 
 
 
래슐리는 쥐의 대뇌피질에 손상을 입히는데...그 방법이...기발하기 짝이 없었음..

아주 옛날에 유럽을 휩쓸던 골상학phrenology 라는 사이비학문이 있었는데. 당시 나폴레옹 전속 과학자이던 플로랑스는 나폴레옹으로부터 이 골상학이라는 놈을 한번 검증해보라는 명령을 받았고, 그는 연구끝애 이 골상학을 사이비라고 결론내며 박살내버렸다. 그때 그 플로랑스가 썼던 테크닉인 실험적절제술(experimental ablation methods)을 이 칼래슐리가 재발굴하여, 이걸 아주 새롭게 정교화시켜서 그 누구도 생각치 못한 발상의 아주 기발한 실험을 계획한다...

그것은 바로...당시 널리 알려져 있던 '특정 기억심상(engram)'이 특정 피질 구역에 위치하는지를 검증하려 했던 것이다..
 

즉, 쥐의 대뇌 피질을 아주 조심스레 손상을 입힌 뒤에 손상을 입기 전과 후의 행동을 아주 정량적이고 계량화시켜서 연구를 한것이지.
 
포인트는 이것이다


제거한 피질 조직의 양이 학습과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가
제거한 피질의 부위, 위치가 학습과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가?


 
실험 후에 래슐리는 쥐의 기억, 학습 능력의 상실이 위치가 아니라 제거된 피질의 양에 좌우된다고 아주 확신하게 되었다.
그니까 특정 손상병변 위치때문에 그 능력의 손실이 일어난게 아니라, 단순히 손상된 양에 좌우된다고 생각했던거다.
 
이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래슐리는 그 유명한 mass action법칙(뇌는 전체적으로 작용하여 뇌의 기능이 결정된다), 그리고 equipotentiality법칙(뇌의 모든 영역은 어떤 일이든 수행할 수 있으며 부위별로 특화되어 있지 않다)라는걸 최초로 검증해서 주장하게 됐다. 
 
뇌에는 어떤 일이든 일어날 수 있다. 라는 거지.
이 아이디어에 근거하면, 만일 갖 태어난 아기에게 거꾸로 보이는 안경을 씌워 평생을 보내게 하면 결국 그 아기는 세상을 똑바로 인식하는 방향으로 뇌가 발달하게 될것이란 얘기가 된다.
 
 
 
 
 
 
동 시대에 래슐리의 equipotentiality법칙을 아주 제대로 뒷받침하는 주장을 펼쳤던 또다른 유명학자는 신경계 발달을 연구하던 당대 최고의 동물학자 폴 바이스였다.
 
폴 바이스는 [도룡뇽과]에 속하는 동물인 뉴트(newt)에 다리를 이식하여, 그 다리에 특화된 신경이 자라날 것인지, 아니면 임의적으로 랜덤하게 마구마구 자라난 신경이 쓰임새에 따라 결국 다리의 뉴런으로 적응을 할 것인지의 여부를 직접 검증해봤다.
 
결과는 뉴트에게 이식된 도룡뇽 다리가 인접한 다른다리와 아주 유기적이고도 조화롭게 움직임을 익히는 모습을 발견했지..
이를 바탕으로 폴바이스는 "function preceding form" "기능이 형태에 선행한다" 라는 당시에는 생리학계에서 아주 유명했던 명언을 남겼다. 즉, 시냅스 연결의 증가가 완전히 임의적이고 랜덤하게 분산된 방식으로 자라나는 후속 접촉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는 견해였지.
 
이런 결과들을 바탕으로 해서, 그 당시 학계에서는 뉴런에서 뉴런으로 이어지는 신경계에는 그냥 사전에 짜인 체계가 없고 "어떤일이든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됐다.
 
 
어떤일이든 일어날 수 있고, 기능이 뇌와 신경계의 생김새, 형태보다 먼저 선행하고, 기능이 결국 형태를 조성하니......
 
이 아이디어를 근거로 생각해보면..
 
갓 태어난 아기에게 태어나자마자 거꾸로 안경을 씌워서 평생을 그렇게 살게 해주면..결국 그 아이의 뇌는 눈으로 들어오는 뒤집어진 시각자극을 뒤집어지지 않은 형태의 세상으로 인식하는 그런 기능을 갖는 형태로 뇌가 교정하는 방향으로 발달하게 될 것이란 얘기다.
 
 
 
 
 
 
 
 
 
 
 
 







뇌가 배울 수 있는건 
따로 정해져 있다.
 
 
하지만 칼래슐리의 실험은 오늘날에 잘못된것이라고 익히 알려져있다.(하지만 그는 업적이 뛰어난 여전히 위대한 학자에 속한다) 그리고 래슐리는 자신의 제자 도날드 헵에게 박살이 났다.(이 얘기는 너무 복잡하고 불필요하므로 생략한다)
 
 
 
 
폴 바이스의 경우에는 로저 스페리라는 제자가 있었는데
래슐리와 마찬가지로 폴바이스도 자신의 제자 로져스페리에게 깨지게 된다.(스승을 깨버리는 학생들이 보통 성공하더라 나중에 이 양반은 칼텍 심리학과에 교수로 재직하면서 여러 동물을 이용하여 신경연결을 뒤바꿔치기 하는 역사적인 연구를 수행했는데, 그 실험실을 거쳐간 대학원생 제자 한명이 참을 수 없는 호기심 때문에, 로저스페리에게 배운 이 실험내용들과 테크닉을 바탕으로, 동물이 아닌 사람에게 수행했던 실험이 있는데 엄청난 것이 발견되버린다. 이 제자 덕분에 로저스페리는 노벨생리학상을 탄다. 제자는 그 노벨상을 못받았지만, 오늘날 학자로서 성공한 삶을 살고있고 그가 바로 "Cognitive Neuroscience, 인지신경과학"이라는 말을 처음 만든 인지신경과학의 창시자 마이클가자니가 라는 사람이다.) 
 
 

아무튼 

바이스는 기능적 활동(예컨대, 어떤 신경이 계속 발역할을 하는 구조물과 붙어있다면)이 신경회로의 형성에 어떤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결국 그 신경의 발달(발 기능으로 특화된 신경계로 형성)로 이루어진다는 견해였는데..스페리는 이에 대해 아주 회의적이었다.

 
예컨대 각종 다양한 신경재건수술을 받은 환자는 수술후에도 왜 몇년간 아무런 차도가 없을까 하는 여러 다양한 사례를 통해..스페리는 의구심을 떨칠 수 없었지.
 
그래서 자신의 스승에 주장이 맞는지 안맞는지 면밀히 따져보는 연구를 수행하기로 마음 먹고, 신경연결의 변화가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는 방식으로 쥐, 닭, 양서류, 물고기 등 온갖 동물에게 각종 기발한 실험을 했었다.
 
예를들어 막 태어난 쥐의 양 뒷발에서 발을 구부리는 굴근과 발을 펴는 신근 신경연결을 서로 바꿔치기 해서..발 관절 움직임이 뒤바뀌도록 해놓고..폴 바이스의 주장처럼..얘가 살아가면서 결국 그 신경연결이 쥐가 발을 제대로 움직이는 법을 학습하여 형태가 바뀌는지 알아보았지..
 
결과는 어떤 훈련을 거쳐도..쥐는 발을 제대로 움직이는게 불가능했다.
 
예를들어 쥐가 사다리를 올라가려 할 때..다리를 올려야 하는 상황에선 내리고, 내려야 하는 상황에서는 올리려고 했지.
결국 운동신경은 상호교환이 불가능한것으로 결론지어졌다.
 
 
또다른 실험에선 다른 감각계를 조사 했는데 쥐의 양쪽 발의 피부 신경을 교차시켜놓고 키워봤다. 이번에도 쥐는 오른쪽 다리에 자극을 주면 왼다리를 들어올리고, 오른다리에 통증을 주면 왼다리를 들어 핥았다. 운동계 감각계 모두 바이스가 주장했던 것 처럼 무지막지하게 유연한 가소성이 없었다. 
 
이번에는 개구리의 눈을 위 아래로 뒤집어놓고 키웠는데...이 상태로 아무리 몇달을 보내고 훈련을 거듭하여도..개구리가 파리를 보면 반대방향으로 혀를 뻗었다.
 
신경계에는 일종에 특정성(specificity)이 존재했던거다. 이는 절대 변경할 수도 없고 새롭게 적응시킬 수도 없었다.
 
또, 금붕어의 망막 일부를 잘라내어 신경이 재생될 때 눈으로부터 정보를 받는 중뇌(mesencephalon)의 시개(tectum)에서 어느 부분에 신경이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아주 면밀히 관찰해본 결과..신경 세포들이 아주 특정한 방식, 즉 각자 세포가 정해진 고정된 방식으로만 생성되는걸 확인할 수 있었다. 망막 뒤쪽에서 생성된 신경세포는 오직 시개 앞쪽으로만 자랐고, 망막의 앞쪽에 생성된 신경세포는 오직 시개 뒤쪽으로만 자라났다.
 
처음 자라나는 위치에 관계없이 그 세포가 날때부터 정해진 위치를 향해 나아가며 생성됐던 거지..
 
이를 토대로 스페리는 "중앙 신경계는 연결이 끊어지고 이식되거나 외과적 수술에 의해 거칠게 나뉘거나 뒤섞이면 언제나 재생을 통해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하며 재학습을 통해 기능을 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라는 결론을 끝으로 냈다.
 
폴바이스는 자신의 실험 대상으로 뉴트라는 도룡뇽과에 속하는 뉴트라는 동물만 사용했던게 큰 실수였던거다... 그런식의 기능재생은 오직 도룡뇽계통 동물에게만 적용되는 얘기였다.
 

나중에 전자현미경이 등장하면서..신경성장을 직접 눈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되었는데...신경 끄트머리에서 끊임없이 몇가닥의 미세섬유가 촉수처럼 뻗어나와 사방을 더듬어가며 어느방향으로 성장할지 간을 보면서 늘었다 줄었다 하는 모습이 확인되기도 했다. 이 경우 스페리는 어떤 화학적 요소와 미리 정해진 유전자코드가 세포의 성장 경로를 설정할 지 결정한다고 주장했지. 이런 연구들을 바탕으로 로져 스페리가 현대 신경과학의 중추로서 오늘날에도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신경특정성(neurospecificity)이란 개념의 도달에 대한 기초작업을 해냈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 경우 첫 질문으로 다시 돌아가 생각해보면
애기에게 거꾸로 안경을 씌워서 평생을 살게 한다 하더라도, 죽었다 깨도, 세상은 그 아기에게 결국 뒤집혀 보일 것이란 얘기다.
적응을 잘 해도 결국 뒤집어진 상에 적응을 한 것이지 그 세상이 뒤집어져서 보인단건 변함이 없을 것이란 것...
 
 
 
 
 
 




 
 
 
 
 
 
밑그림은 유전자가 그리고, 
색칠은 경험이 한다.
 
 
 
스페리가 미국에서 막 신경발달에 대한 자신의 이론을 한참 다듬고 있던 그 시대 초반에...
 
 
 
영국에는 피터 말러라는 젊은 생물학자가 있었다.
이 사람은 야생에서 식물을 연구하던중에 우연찮게...똑같은 종의 새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노래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호기심을 느낀 피터 말러는 이걸 새의 '사투리'로 부르며 본격적으로 흰관참새라는 종의 새를 관찰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 새가 갖 태어나서 생후30일에서 100일 사이의 짧은 시기에 감각이 특히 예민해져 이 결정적 시기 동안 다양한 소리를 받아들이고 열심히 배운다는 것을 발견했다.
 
Peter Marler, who was curious as to whether he could sing a new song to a bird if he could sing another song to the bird, was able to isolate the newborn white sparrow baby bird in several groups, The birds were just learning to sing the song they heard at that time.
 
The song that this bird sings comes from the bird 's experience .
 
 
Now, Mahler knows the songs the sparrows of some other species sing can learn from these white sparrow babies.
So I spoke to a song of a different species of sparrow that I often meet in the area of ​​the baby birds.
 
The result was dead. Even the sesame of the other species' sparrow could not learn. Only the song of a bird of the same species could be learned.
 
In the end, the song that the bird calls depends on which song he or she is listening to, but the kind of song that can be learned is very limited.
 
Something the brain can learn and accept new things, but what is learned is that there are already neurological constraints. This congenital constraint was soon a problem with bin Nepalon ...
 

In a nutshell ... There is already a sketch of a gene ... what coloring on the sketch comes from the experience. The extent to which bean sprouts can grow is already genetically determined, but within that range, the growth direction of the bean sprouts is an extremely natural and accepted assumption that soil, nutrition and climate are influential today
 
 
 
 
 
 
 
 
 
 
At the time, another country, Switzerland, also had an immunologist named Niels Kaiserne.
There was a theoretical consensus in the field of immunology in that era. The formation of antibody antibody is the same as the learning process in which antigen antigen
 
Antigens are usually proteins or polysaccharides that form the surface of cells, which can be bacterial, like bacteria, viruses, parasites, non-bacterial, like pollen or egg whites, It could be the protein on the surface.
 
However, Yehner says that the "agreement" may be different from the facts, and at the time, it turns out that the immigration academics are flirting.
 
It is not just that a specially designed antibody is formed when an antigen occurs, but that a human body is born with all kinds of antibodies that it will have as it is living.
 
It is argued that an antigen is just such a molecule that the innate antibody recognizes or chooses, there is no such thing as learning, there is only a choice, the immune system is complex from the start, and it does not get complicated over time.
 
This theory has become the foundation of today's theory known as antibody response and clonal selection theory.  
 
Most of the antibodies do not meet matching foreign antigens, but if you encounter such an antigen, you will activate the antibody and make a lot of clones to neutralize that antigen
 
Yeh Rene's unmistakable claims do not stop in the immune system,
 
I asserted that if the immune system were this way ... other organs, including the brain, would be the same.
 
According to the manuscript 'Antibodies and Learning: Selection vs. Instruction, Antibodies and Learning: Choice or Command', there is a claim that the  brain should be seen as responding to choice rather than command
 
Just as the immune system is not an open system that can produce any kind of antibody, but a system for what you already have and hold.
The brain is not an open lump that can learn to do anything. So, learning by experience has already made a surprising claim that it is the process of choosing the abilities that are already inside us and then dealing with the problems we face.
 
Its inherent ability, in other words, is a genetically determined neural network that is specialized for a particular type of learning.
 
There is one example that often appears in the field of studying learning ... It is easy to learn how to fear a snake, but it is very difficult to learn how to be afraid of flowers.

Another example is the artifact, a product of the modern civilized society called 'automobile', which is not already inherent in the brain.

So, when I saw the snake and I was surprised, I slammed the car door and hurt my hand. It is very difficult to learn the fear of the car, which is the direct cause of the pain, and it is very difficult to learn the fear of the snake. . The fear of snakes is already a 'learned learning' theory that the An ori lived in the wild environment and evolved naturally inherently linked to the problem of survival.
 
Like the white sparrow seen from above ... Experiential learning is the choice of existing abilities along with the complexity of the brain ... but in other words it also means constraints . If it is not intrinsic, it can not exist.
 










So what?

 
The brain depicted by Lashley or Watson Weiss was a brains with an uncharacterized plasticity that could learn anything.
If you like that brain, you can teach it to like the scent of the flower .. You can teach it to love the rotten shark of the egg, and the baby who has lived up to the glasses with the glasses upside down can learn the brain have.
 
But Nelson Yehnerna Sperry challenged this concept and argued that the brain originally had been genetically determined in a certain way and arrived in this world in a nearly defined state. Nevertheless, Peter Maler, and other new studies of singing. Just simply ... literally the sketch is the gene, and the painting is painted in the sketch.
 
 
 
 
 
 
 
 
 
 
 



 

 
 
Sensory deprivation, selective parenting
 
 
 
 
There used to be an Irish noble philosopher named William Molyneux. This person once sent a letter to the famous philosopher, Dunn John Locke, at the time, with a nutshell peanut.
The content is somewhat similar to the first question.
 
"When I was born blind and learned to distinguish a cube and a sphere by their tactile senses, can a grown person visually distinguish between them when they regain their vision later on?
 
존로크의 대답은 물론 '불가능하다'였음.. 그 사람은 차이를 보는것을 학습한 적이 없었기 때문.

이건 후에 Molyneux's problem(몰리뉴의 문제)라고 불리며 철학에 논의되던 주요 사고실험 중 하나가 되었지..
 
갓 태어난 애기에게 거꾸로안경씌워 평생을 키우는 것은 실제로 사람에게 할 수는 없는 실험이다..
하지만 똑같진 않지만 비슷한 상황을 찾는것은 가능하다.
 
장님으로 태어났다가 다시 시각을 회복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말이지...
바로 백내장 환자들이다.


백내장은 수정체에 어떤 막이 생겨서 세상에 대한 시각자극이 그냥 분산된 빛으로만 경험되는 병이다.
 
과거에 백내장은 영원히 장님으로 평생을 살아야 했던 병이었지만..오늘날 의학기술발달로..외과적 수술을 통해 충분히 백내장을 제거할 수 있게 됐다.
 
평생을 그렇게 살아온 사람들이 백내장을 제거하여 갑자기 시력을 회복하였을 때..어떤일이 벌어질까?
 
결과는 환자들은 대상 오브젝트들(전경)을 배경자극과 따로 분리를 하여 구분할 수 있었으며, 색깔을 충분히 감각할 수 있었다.
이런 사실은 시지각의 이런 측면들이 생득적, 그러니까 타고나는 것이란 사실을 뜻하지.
 
그렇지만..로크가 말했던 것처럼...이 사람들은 촉감으로 친숙했던 대상을 눈으로 재인(recognition) 즉, 예전에 그 친숙했던 자극과 동일한 자극으로 알아챌 수 없었다.
 
 
 
정상인은 얼굴을 전체로써 지각하고 재인한다. 이걸 holistic processing이라 함.
예로, 얼굴 사진을 절반을 잘라서 다른 얼굴을 합성하거나 이목구비를 변경하여 합성한 사진을 제시하면 정상인은 거기서 그냥
다른 얼굴이라고 판단해버리지. 절반이 똑같은거라고 보지 않고 그냥 아예 전체적으로 다르게 보여버린다.
전체적인 조합이 주는 얼굴의 '인상'이란게 있다는거다.
 
 
그렇지만 유아기에 위에서 말한것처럼 시각경험이 박탈된 사람들은 정상인들이 놓치기 십상인 윗부분 절반이 똑같다고 아주 쉽게 재인해버린다.
왜냐하면 이 사람들은 얼굴을 전체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학습하지 못했기 때문.
 

예를들어 40년동안 맹인으로 생활하다가 시각을 회복한 43세 남자는 사람의 얼굴을 독특한 세부자질(feature)로써 연합을 시킬 수는 있었지만(영희는 곱슬머리, 철수는 짝눈, 얘쁜이는 싸이클롭스 등) 전체적 얼굴을 즉각적으로 재인, 알아치리지는 못했다.
 
또한 이 사람은 몇가지 지각항등성(perceptual constancy)관련 기능들도 잘 수행하지 못했었지... 
예를들어..사람들이 자신에게서 점점 멀어져가면 그 사람들이 멀리 가는게 아니라 그냥 크기가 줄어드는 것 처럼 지각했다.
 
이런 사례들이 보여주는 것은...존로크의 썰과는 다르게...시각이라는게 '부분적으로는 타고나는 감각. 또 '부분적으로는 획득된 감각'즉, 타고나지 않고 배우는 것ㅇㅣ기도 하다라는 사실이다.
 
 
이제 가장 비슷한 실험을 한번 살펴보자.
이 실험은 사람에겐 할 수 없지만 실험동물에게는 가능하다.
 
태어날 때부터 특정 자극만 존재하는 환경에 인위적으로 양육하는 조금은 잔인한 실험 방법이 있는데 이런식의 실험설계를 두고 선택적 양육(selective rearing)이라고 한다.
 
 
 
 
  
 
Blakemore와 Cooper라는 사람이 1970년도에 했던 아주 유명한 실험이다.
그림과 같이 어린 고양이들을 수직, 혹은 수평선분밖에 없는 환경에서 나눠서 선택적으로 양육을 시켰는데...
이 고양이들은 태어나자마자 2주까지는 암실에서 살았으며, 그 후에는 저 위의 그림처럼 특수한 환경에서 하루에 5시간씩 보냈고 나머지 시간은 다시 아무것도 안보이는 암실에서 생활을 했다.
 
바닥은 원통배경만 반사시키는 특수한 유리로 만들어져있고(어떻게 만든건지 나도 존나 궁금하다) 저런 긴 원통속에서 살았는데 고양이들은 환경 속에서 수직 선분이나 수평 선분 이외에 다른 모든 모서리나 테두리들을 착용할 수 없었다.
 
그리고 특수한 고깔목도리를 착용시키게 해서 오직 수직선분이나 수평선분 외에 다른 각도로 기울어진 시각자극은 절대 경험할 수 없도록 환경을 그렇게 조작해놨다.
 
5개월동안 이런 성장과정을 거친 고양이들의 결과를 살펴보면....
자신들이 경험한 환경 속에 있는 선분 외에 다른 각도의 선분들에 대해서는 장님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령 수직 막대에는 관심을 기울이지만 수평막대는 무시하였지.
 
이런 행동 측정 뿐만 아니라..직접적으로 신경학적으로도 검증을 했다.
 
 
  
 
뇌의 후두엽에는 선조피질(striate cortex), 또는 일차시각피질(primary visual cortex), V1이라고도 불리는 영역이 있다.
이름처럼 뇌에서 시각정보에 대한 최초의 처리기관이다.
 
These are simple cells, complex cells, supercomposite cells, end stop cells, etc. (The details are complex, so we'll skip it. Interested gays look at the work of Torsten Wiesel and David Hubel) There are cells with azimuth selectivity. Each of these cells responds only to line segment stimuli, which are tilted at specific directions and angles, respectively. We see the world not just as powerful but as a result of the convergence of line segments that are skewed in numerous directions as far as visual information is concerned. It is complicated and there is no big relationship here, so the details are omitted.
 
 
The result is as shown in the picture. The left is the reaction angle distribution of 52 cat nerve cells grown in the environment where there is only the horizontal line, and the right is the angular distribution of the 72 nerve cells of the cat that is grown in the environment where only the vertical line exists.
 
In other words, a cat that has only been living in a horizontal line has reacted to a line with a horizontal line or a similar angle, but the cell has not reacted at all with a vertical line.
 
It's linked to nerve cell responses and cats visual experience.
 
In the end, these cats were deprived of normal sensory stimuli during the critical period of development, so they could not construct normal circuits in the brain and eventually became functional blinds to their shapes. 
 
 
 
Other scholars have done another similar experiment. This time, they covered the goggles, not the cylinders, to limit the sensory experience during the early developmental stages.
 
The result was exactly the same.
 
 
 
What about people?
What happens when a human baby lives by looking at the horizon and the vertical line?
 
Of course, no parent would allow the experimenter to undergo such a procedure, and it would not happen naturally.
 
 


But is it true?
 
 
Maybe this happened to some of the gays watching this article.
 
About 70% of all infants have astigmatism. This astigmatism is that the lines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horizontal, vertical, or oblique) are blurred. The cause of astigmatism is the asymmetric curvature of the eye.
 
As a result of normal growth, the incidence of astigmatism in 4-year-old children is reduced to about 10%.
 
 
 
 
 
With this picture, I can do an informal little bit of astigmatism ...
Do you think any of the lines are blurry or obscure?
 
If you have such a jerk, turn the monitor or turn your head. Then we can see that the shape of the line changes according to its position.
 
In this case ... If there is a strong astigmatism in the eye during the time period during which the visual cortex develops, the line in one direction will look more clearly than the line in the other direction.
If this astigmatism is not corrected early, the cells of the visual cortex will react better to visible lines, and now, even if the eye is perfectly spherical, the lines in the other direction will still appear blurred throughout their lifetime. It's about being an active member of Forever Forever.
 
 
 
 
 
 







 
 
 
Compliance
 
 
 
The first time I buy glasses, I lose a little sense of direction ... and I feel a little dizzy. But after a day or two, eventually you will adapt.
It is said that he adapted perceptually to such things. These perceptual adaptations to altered sensory input eventually make the world back to normal.
 
But what about eyeglasses that look both reversed up and down, with much more dramatic effects?
 
The person obviously adapts to such special glasses as well (the chicks that have been experimented with are dead at the same time, 
 
 
In 1896, there was a psychologist named George Stratton.
 
 
 
This picture (this picture is not Hubert Doregal himself but another person) I lived for a while with glasses.
At first, it was impossible to eat, it was nauseous and even depressed. In the end, I overcame it with a nao.
 
Even throwing the ball precisely towards the target. 
When I took off my glasses, I experienced a reverse reaction, but I was able to reapply much faster than when I wore glasses.
 
In subsequent experiments that others had done (planned in a documentary program), they even ran motorcycles with these glasses, skied in the Alps, and even managed to fly.
 
 
 
 
So did these people adapt to the perceptual "normal" look of a strange world?
 
Of course not. 

The world still seemed to be on the head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just being actively moving and repetitively adapting to that situation, and just learning to adjust its movements accordingly.
 
 
 
 
 






 
conclusion
 

So far, verbosity and long story telling are just a single sentence when compressed
 
"AIDS is to sculpt the raw data given birth" is
 
So if you answer the original question briefly and conclude it
 
If the person who was just born continues to wear glasses upside down
 
At the perception level, the world still looks upside down.
Only there is coordination of exercise coordination and other actions to adapt to the upside.











REFERENCE

Gluck, MA, Mercado, E., & Myers, CE (2008). Learning and memory: From brain to behavior. New York: Worth.
Gazzaniga, MS (2011). Who's in charge ?: Free will and the science of the brain. New York, NY: HarperCollins.
Kalat, JW (2012). Biological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roctor, J., & Goldstein, EB (2007). Virtual lab manual for Goldstein's Sensation & perception, seventh edition: With CD. Belmont, CA: Thomas Wadsworth. 
Myers, DG (2004). Psychology. New York: Worth Publishers. 
Kandel, ER, Schwartz, JH, & Jessell, TM (2000). Principles of neural science. New York: McGraw-Hill, Health Professions Division. 
Le, GR, Mondloch, CJ, Maurer, D., & Brent, HP (November 01, 2004). Impairment in Holistic Face Processing Following Early Visual Deprivation. Psychological Science, 15, 11, 762-768. http://psych.mcmaster.ca/maurerlab/Publications/LeGrand_Holistic.pdf
Blakemore, C., & Cooper, GF (January 01, 1970). Development of the brain depends on the visual environment. Nature, 228, 5270, 477-8. 
Stryker, MP, & Sherk, H. (January 01, 1975). Modification of cortical orientation selectivity in the cat by restricted visual experience: a reexamination. Science (New York, N.), 190, 4217, 904-6.


------------------

3-line summary

1. You can not change your birth.
2. But Ninggen is an adaptation animal. 
3. And the adaptation was born. 

댓글 없음:

댓글 쓰기